전에 어딘가에서 썼긴하지만 내가 책을 읽는 것을 좋아했던 이유는, 책을 읽다가 내가 생각했던 것과 일맥상통하는 구절을 찾아낼 때의 동질감과 연대감이 좋기 때문이다.
같은 이유로 내 마음에 오래 남는 좋은 드라마들도 몇 개 있는데 그 중 하나로 나의 아저씨가 오래 남을 것 같다.
이 드라마 2018년에 나온 드라마로 아이유가 나오는데 나는 아저씨 역할의 이선균과 러브라인이 없다고 해도, 하필 제목부터 나의 아저씨라 뭔가 불륜과 부적절한 관계 같아 보이는 변태 아저씨들의 판타지를 충족하는 더러운 소재의 드라마 아니냐는 논란은 처치하더라도, 방영 종료 후 수 많은 사람들의 극찬에도 꿋꿋이 보지 않고 있었다.
아마 한 1편은 슬쩍 보긴했던 것 같은데 끝까지 못 보고 중도 하차 했다.
드라마 전반적으로 깊게 깔려있는 그 우울함이 견디기 힘들었고, 그 드라마 내내 우울함과 무거움이 계속되리라는 예상 때문이기도 했다.
나는 폭력도 싫어하지만 감정적인 폭력에도 취약한 편인데 그래서 학대 받는 주인공 이지안에게 감정 이입이라도 하게 될까봐 더 피했다.
그런데 이 드라마를 보게 된 결정적 이유,
내가 이 드라마의 ost를 너무 좋아하는데 dear moon이라는 노래는 항상 이맘때쯤 공기가 차갑고 쌀쌀해질때면 듣게 되는 노래라 유튜브로 틀었는데 뮤비영상으로 나의
아저씨가 나오는게 아닌가.
그래서 노래를 감상하며 영상을 보는데
1. 초반에 이선균이 아이유를 지하철에서 우연히 보게 되는데 한겨울 짧은 양말에 드러난 발목을 보는 것에서, 아, 박동훈이라는 캐릭터는 기본적으로 사람에 대한 측은지심이 있는 따뜻한 사람이구나, 그래서 한번 울컥
2. 그에 반해 아이유가 연기하는 메마르다 못해 푸석해진 이지안은 그저 푸석한, 정 안가는 캐릭터인줄만 알았는데 한 밤에 할머니를 요양 침대째로 들고 튀는데 커다란 보름달을 보며 행복해하는 할머니 모습과 그래도 이지안이라는 사람에겐 할머니가 있구나, 그 둘이 세상의 전부이구나, 그 깊은 유대감에 한번 더 울컥했다. 아무리 최하층 바닥의 삶을 사는 사람들일지라도 그 힘들고 퍽퍽한 삶에도 달이 아름다운 걸 알고, 소중한 것이 무엇인지 알며, 그 소중한 사람을 온몸으로 지키는 모습이 더 없이 정이 가버려서. 그 모습이 너무 애달파 보였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가장 정이가는 이유는 두 주인공들에게 없는 것, 결핍 때문이다.
박동훈에겐 선의와 인간에 대한 긍휼이 여김은 있으나 자신의 선의에 대한 위선과 나 이렇게 좋은 사람이야 하는 자아도취는 없었고
이지안에겐 차고 넘칠만한 사연과 삶의 무게가 있었으나 자기연민은 없었다.
그러니 이 두 캐릭터에 어찌 정이 안갈 수가 있을까!
내가 도리어 안타깝고 애틋해져버렸다.
그리하야 아직 퇴근후 야금야금 보고 있는 중이지만, 내 마음에 깊이 와 닿았던, 나도 했던 생각과 일맥상통하던 대사를 남겨보고자 한다.

'Just Me :)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Everything Everywhere All at once (0) | 2022.10.30 |
---|---|
헤어질 결심 (0) | 2022.08.03 |
- (0) | 2022.07.25 |
행복 (0) | 2022.04.29 |
가난 (0) | 2021.10.18 |